본문 바로가기
성경묵상

마가복음 12:28-34

by Logos 2025. 3. 29.
반응형

가장 큰 계명, 사랑으로 완성되는 구속사

마가복음 12장 28절부터 34절은 고난주간 중 예수님과 한 서기관 사이에서 오간 중요한 대화를 기록한 본문입니다. 율법 중 가장 큰 계명이 무엇인가를 묻는 질문에, 예수님은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라는 두 계명으로 대답하십니다. 이는 단지 윤리적 교훈이 아니라,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앞두고 구속사의 핵심을 요약하신 선언입니다. 이 계명은 율법의 요약일 뿐 아니라,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완성될 새 언약 공동체의 핵심 가치이기도 합니다.

율법의 본질은 하나님과의 관계, 그리고 이웃과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사랑입니다. 이 사랑은 인간의 능력으로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십자가 위에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친히 보여주신 희생적 사랑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본문의 대화는 단순한 교리 해석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될 사랑의 계명에 대한 선포입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라, 전심과 전력으로

28절에서 한 서기관이 예수께 나아와 묻습니다. “모든 계명 중에 첫째가 무엇이니이까?” 당시 유대인들은 율법을 613가지로 세분화하여 그중 어떤 계명이 더 중요하거나 무게 있는지를 논쟁하곤 했습니다. 이 서기관은 예수님의 지혜로운 대답들을 들은 후, 진심으로 율법의 본질을 알고자 하는 태도로 예수님께 질문합니다.

예수님은 신명기 6장 4-5절의 쉐마(이스라엘의 가장 중심되는 신앙고백)를 인용하시며 대답하십니다. “첫째는 이것이니…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신 것이요.” 하나님을 향한 사랑이 율법 전체의 근본임을 밝히신 것입니다.

이 사랑은 단순한 감정이나 일시적 헌신이 아니라, 전인격적 헌신입니다. 마음, 목숨, 뜻, 힘이라는 표현은 인간의 존재 전체를 하나님께 드리는 전적인 사랑을 의미합니다. 이 말씀은 십자가를 향해 나아가는 예수님의 삶 전체를 통해 구현되고 있으며, 예수님의 순종은 바로 이 사랑의 절정입니다.

개혁주의 신학자 칼빈은 이 말씀을 주해하며, 참된 경건은 형식이나 의식이 아니라 하나님을 전심으로 사랑하는 내면의 헌신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합니다. 그리스도는 이 사랑을 완전하게 실천하셨고, 그의 죽음은 우리에게 그 사랑을 가능케 하는 은혜의 기초가 됩니다.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예수님은 계속해서 레위기 19장 18절을 인용하시며 두 번째 계명을 덧붙이십니다. “그 둘째는 이것이니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하신 것이라 이보다 더 큰 계명이 없느니라.”

이웃 사랑은 하나님 사랑의 자연스러운 열매이며, 이 둘은 분리될 수 없습니다. 요한일서 4장 20절에서도 “보이는 형제를 사랑하지 않는 자는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사랑할 수 없다”고 말하듯, 하나님 사랑은 반드시 이웃 사랑으로 드러나야 합니다. 십자가는 수직적으로는 하나님을 향한 예수님의 순종이며, 수평적으로는 인류를 위한 사랑의 증거입니다.

예수님은 단지 율법을 나열하신 것이 아니라, 자신이 십자가 위에서 이루실 사랑의 본질을 계명으로 드러내신 것입니다. 그분은 이웃을 위하여 생명을 버리셨고, 그 희생을 통해 이 계명을 성취하셨습니다. 교부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구절을 두고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 곧 신자의 전 생애를 정의한다”고 말했습니다.

서기관의 이해와 예수님의 인정

32절부터 33절에서 서기관은 예수님의 말씀에 동의하며, “하나님은 한 분이시요 그 외에 다른 이가 없다 하신 말씀과 또 마음을 다하고 지혜를 다하고 힘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과 이웃을 자신과 같이 사랑하는 것이 전체 번제보다 나은이다”라고 말합니다.

이는 매우 깊이 있는 이해를 드러낸 고백입니다. 그는 제사의식보다 사랑의 계명이 우선됨을 인정하였고, 이는 호세아 선지자가 말한 “나는 인애를 원하고 제사를 원하지 아니하며”(호 6:6)라는 말씀과 일치하는 고백입니다. 예수님은 이러한 고백을 들으시고, “네가 하나님의 나라에서 멀지 않도다”고 말씀하십니다.

이 말씀은 그가 이미 복음의 핵심을 깨닫고 있으며, 하나님의 나라에 가까이 왔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멀지 않다’는 표현은 결정적 신앙의 고백, 곧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속의 수용이 필요하다는 암시도 함께 담고 있습니다.

개혁주의적 시각에서 볼 때, 서기관은 율법의 정신을 제대로 이해했지만, 그 율법의 완성을 이루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받아들일 때에야 비로소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간 자가 됩니다. 사랑은 율법의 요약일 뿐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비로소 성취되는 실체이기 때문입니다.

고난 속에 드러난 사랑의 실현

예수님께서 이 계명들을 말씀하신 때는 고난주간, 곧 십자가를 향해 나아가시는 시점입니다. 이는 그저 가르침이나 이상적 윤리가 아니라, 예수님의 삶과 죽음을 통해 실제로 이루어질 사랑의 계명입니다. 그분은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셨으며, 자기 목숨을 이웃을 위해 내어주심으로 그 사랑을 완성하셨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는 하나님을 향한 전적인 헌신이자, 인류를 향한 완전한 사랑입니다. 사랑의 계명은 예수님의 십자가 위에서 가장 선명하게 드러났고, 부활을 통해 그 사랑은 이제 우리 안에 심겨진 계명이 되었습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이 사랑은 단순한 명령이 아니라, 구속을 받은 자에게 주어진 새로운 존재의 방식입니다.

교회는 이 계명을 통해 세상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드러내야 하며, 성도는 이 사랑 안에 거함으로 하나님의 나라 백성으로 살아가게 됩니다. 우리는 사랑하기 위해 존재하며, 그 사랑은 예수님의 십자가로부터 시작됩니다.

전체 결론

마가복음 12:28-34은 율법의 핵심인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 성취된 구속의 본질임을 드러냅니다. 고난주간에 주어진 이 말씀은 단순한 윤리의 요약이 아니라, 십자가에서 실현될 사랑의 선언이며, 새 언약 백성의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구속사의 중심 진리입니다. 우리는 이 사랑으로 부르심을 받았으며, 그 사랑 안에 거할 때 하나님의 나라를 누리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