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묵상

마가복음 12:35-37 다윗의 자손

by Logos 2025. 3. 29.
반응형

다윗의 자손인가, 다윗의 주인가?

마가복음 12장 35절부터 37절은 고난주간에 예수님께서 성전에서 가르치시던 중, 자신에 대해 유대인들이 가지던 오해를 바로잡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시는 장면입니다. 이 구절은 짧지만, 구속사적 관점에서 매우 깊은 진리를 담고 있습니다. 이 말씀을 통해 예수님은 단순한 메시야 사상, 즉 다윗의 혈통을 잇는 인간적 메시아 개념을 넘어서, 자신이 다윗조차 주라 부른 하나님의 아들이요 주권자이심을 선포하십니다.

예수님은 여기서 시편 110편 1절을 인용하심으로, 자신이 단순한 인간 통치자가 아니라 하나님의 구속 계획 안에서 영원한 통치권을 가지신 분임을 계시하십니다. 이 말씀은 고난주간이라는 절박한 시간 속에서, 십자가의 길을 앞에 두고 예수님께서 자신의 신적 정체성을 분명하게 드러내신 장면입니다. 십자가의 고난은 실패가 아니라, 주로 오신 그리스도의 통치를 이루는 결정적 사건입니다.

다윗의 입을 통해 드러난 메시아의 신적 정체성

35절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예수께서 성전에서 가르치실 때에 대답하여 이르시되 어찌하여 서기관들이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이라 하느냐." 예수님은 서기관들이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이라 부르는 것에 대한 질문을 던지십니다. 이는 단지 육적 계보에 근거한 메시아관에 대한 도전입니다.

유대인들은 메시야가 다윗의 혈통에서 날 것이라는 약속(사무엘하 7:12-16, 이사야 11:1 등)을 근거로, 메시아를 정치적 해방자, 이스라엘을 다시 강국으로 회복시킬 인물로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시편 110편 1절의 말씀을 인용하여, 다윗이 자신의 후손인 그리스도를 '주'라 부른 사실을 지적함으로써, 메시야는 단순한 인간이 아니라 하나님의 통치권을 가지신 분임을 선언하십니다.

이 장면에서 예수님은 자신의 메시아 되심이 혈통에 국한되지 않음을 말씀하십니다. 오히려 그는 다윗이 경배한 분이요, 하나님의 오른편에 앉으실 분이심을 보여주십니다. 이는 단지 신학적 논쟁이 아니라, 곧 닥칠 십자가 사건이 인류를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구속 계획 안에서 얼마나 위대한 권위를 가지는지를 드러내는 선포입니다.

시편 110편의 인용: 주께서 내 주에게 말씀하시기를

36절에서 예수님은 시편 110편 1절을 직접 인용하십니다. “다윗이 성령에 감동되어 친히 말하되 '주께서 내 주께 이르시되 내가 네 원수를 네 발 아래에 둘 때까지 내 우편에 앉아 있으라 하셨도다' 하였느니라.” 이 구절은 구약에서 메시아의 신성과 통치를 가장 명확하게 예언한 말씀으로, 신약에서도 여러 차례 인용된 매우 중요한 구절입니다.

여기서 “주께서 내 주께 이르시되”는 표현은, 하나님 여호와께서 다윗의 '주'이신 메시아에게 말씀하셨다는 뜻입니다. 다윗이 자신의 후손을 '주'라 부른다는 것은 당시 유대 전통으로는 매우 파격적인 표현이며, 이는 예수님께서 단지 혈통상 다윗의 후계자가 아니라,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이며 하나님의 보좌에 앉으실 분임을 보여줍니다.

교부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말씀을 해석하며, 메시아는 육신으로는 다윗의 후손이지만, 신성으로는 다윗의 주이시며, 그분은 시간 안에 오시지만 시간을 초월하신 하나님이라고 말합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의 죽음을 앞두고 자신의 정체성을 이렇게 분명히 드러내신 것은, 구속사의 완성자로서 자기 자신을 계시하신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백성들이 즐겁게 들은 말씀의 의미

37절에서 예수님은 다시 질문하십니다. “다윗이 그리스도를 주라 하였은즉 어찌 그의 자손이 되겠느냐 하시니 많은 사람들이 즐겁게 듣더라.” 예수님의 말씀은 단순히 서기관들의 교리를 무너뜨리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로 하여금 성경의 깊은 의미를 새롭게 바라보게 하였고, 많은 사람들이 그 말씀을 기쁨으로 받아들입니다.

이는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진리가 억지 논리나 위협이 아니라, 성경을 통해 밝혀지는 메시아의 신비한 정체성, 곧 구속사에 감추어져 있던 하나님의 뜻을 드러내는 복음이라는 것을 백성들이 감지했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는 단지 다윗의 자손이 아니라 다윗의 주이시며, 사람의 역사 안에 오셔서 하나님의 역사를 이루시는 분이십니다.

이 말씀이 선포된 시간은 고난주간입니다. 예수님은 곧 십자가에 못박히실 것입니다. 그러나 그 십자가는 인간적 패배가 아니라, 하나님의 오른편에 오르시는 통치의 관문이요, 원수를 발 아래 두시는 승리의 길입니다. 그분은 십자가에서 죽임을 당하셨지만, 부활로 살아나 하나님의 보좌 우편에 앉으신 메시아이십니다.

전체 결론

마가복음 12:35-37은 예수님께서 고난주간 중에 자신의 메시아적 정체성을 시편 110편을 통해 밝히시며, 자신이 단지 다윗의 자손이 아닌 다윗의 주, 곧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계시하신 장면입니다. 이 말씀은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이 실패가 아닌 구속사의 중심이요, 하나님의 통치가 드러나는 자리임을 선포합니다.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온전히 주로 고백하며,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이루어진 그의 통치 아래 순종과 경배의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