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에서 '그릇'의 상징적 의미
이전에 소개한 그릇과도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이 글에서는 사람으로서의 그릇을 말합니다. 악한 자, 선한 자, 사명자 등에 대한 그릇을 말합니다. 어떤 그릇은 하나님께 쓰임 받는 도구가 되지만, 또 어떤 그릇은 버려지는 그릇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성경에서는 사람의 연약함, 성결함, 그리고 하나님의 도구로서의 사명을 설명하는데도 그릇이 사용됩니다. 본문을 통해 성경에서 '그릇'이 어떻게 상징적으로 사용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하나님께서 택하신 그릇
하나님께서는 특정한 사람을 자신의 도구로 사용하시며, 그들을 '택한 그릇'이라고 부르십니다. 사울(바울)은 복음을 전하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사람이었으며, 하나님께서 그를 직접 부르시고 사용하셨습니다.
사도행전 9:15
주께서 이르시되 가라 이 사람은 내 이름을 이방인과 임금들과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전하기 위하여 택한 나의 그릇이라
디모데후서 2:21
그러므로 누구든지 이런 것에서 자기를 깨끗하게 하면 귀히 쓰는 그릇이 되어 거룩하고 주인의 쓰심에 합당하며 모든 선한 일에 준비함이 되리라
연약한 그릇: 인간의 연약함과 존중
성경에서는 남편이 아내를 '연약한 그릇'으로 여기고 사랑과 존중을 다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이 표현은 인간의 연약함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소중히 다루어야 하는 존재라는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베드로전서 3:7
남편들아 이와 같이 지식을 따라 너희 아내와 동거하고 그는 더 연약한 그릇이요 또 생명의 은혜를 함께 이어받을 자로 알아 귀히 여기라 이는 너희 기도가 막히지 아니하게 하려 함이라
시편 103:14
이는 그가 우리의 체질을 아시며 우리가 단지 먼지뿐임을 기억하심이로다
질그릇 속의 보배
하나님께서는 연약한 인간을 질그릇과 같다고 표현하시면서도, 그 안에 보배로운 복음과 영광을 담아 주셨습니다. 인간의 연약함 속에서도 하나님의 능력이 드러나며, 성도들은 하나님의 영광을 담는 그릇이 됩니다.
고린도후서 4:7
우리가 이 보배를 질그릇에 가졌으니 이는 심히 큰 능력이 하나님께 있고 우리에게 있지 아니함을 알게 하려 함이라
이사야 64:8
그러나 여호와여 이제 주는 우리 아버지시니이다 우리는 진흙이요 주는 토기장이시니 우리는 다 주의 손으로 지으신 작품이니이다
토기장이와 질그릇: 하나님의 주권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진흙과 같은 존재로 비유하시며, 토기장이가 그릇을 빚듯이 하나님의 뜻대로 인간을 만드시고 사용하심을 말씀하십니다.
예레미야 18:4-6
진흙으로 만든 그릇이 토기장이의 손에서 터지매 그가 그것으로 자기 의견에 좋은 대로 다른 그릇을 만들었더라 그때에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니라 이르시되 이스라엘 족속아 이 토기장이가 하는 것 같이 내가 능히 너희에게 행하지 못하겠느냐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진흙이 토기장이의 손에 있음 같이 너희가 내 손에 있느니라
로마서 9:21
토기장이가 같은 진흙 덩이로 하나는 귀 쓰는 그릇을, 하나는 천히 쓰는 그릇을 만들 권한이 없느냐
깨끗한 그릇과 더러운 그릇
하나님께서는 깨끗한 그릇을 사용하시며, 더러워진 그릇은 버리신다고 말씀하십니다. 우리는 우리의 삶을 정결하게 하여 하나님께 귀하게 쓰임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레위기 11:33
그것들 중 어떤 것이 질그릇에 떨어지면 그 안에 있는 것은 모두 부정하므로 너희는 그것을 깨뜨릴 것이며
디모데후서 2:20-21
큰 집에는 금과 은의 그릇이 있을 뿐 아니라 나무와 질그릇도 있어 귀하게 쓰는 것도 있고 천하게 쓰는 것도 있나니 그러므로 누구든지 이런 것에서 자기를 깨끗하게 하면 귀히 쓰는 그릇이 되어 거룩하고 주인의 쓰심에 합당하며 모든 선한 일에 준비함이 되리라
진노의 그릇과 긍휼의 그릇
성경에서는 하나님의 심판을 받을 자들을 '진노의 그릇'으로, 하나님의 은혜를 받을 자들을 '긍휼의 그릇'으로 표현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공의롭게 역사하심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9:22-23
만일 하나님이 그의 진노를 보이시고 그의 능력을 알게 하고자 하사 멸하기로 준비된 진노의 그릇을 오래 참으심으로 관용하시고 또한 영광 받기로 예비하신 긍휼의 그릇에 대하여 그 영광의 풍성함을 알게 하고자 하셨을지라도 무슨 말을 하리요
잔과 그릇: 순종과 고난
예수님께서는 십자가의 고난을 '잔'에 비유하셨으며, 이는 그릇이 때로는 고난과 희생의 의미를 가질 수도 있음을 보여줍니다.
마태복음 26:39
조금 나아가사 얼굴을 땅에 대시고 엎드려 기도하여 이르시되 내 아버지여 만일 할 만하시거든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 그러나 나의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하시고
요한복음 18:11
예수께서 베드로에게 이르시되 칼을 칼집에 꽂으라 아버지께서 내게 주신 잔을 내가 마시지 아니하겠느냐 하시니라
최후의 만찬의 잔과 그릇
예수님께서 최후의 만찬에서 사용하신 잔과 떡은 새 언약을 상징하며, 성찬식을 통해 우리가 예수님의 피와 살을 기념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누가복음 22:20
저녁 먹은 후에 잔도 그와 같이 하여 이르시되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더 많은 다양한 주제의 성경 구절은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제성구-상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에서 사용된 다양한 그릇과 용기 (0) | 2025.02.24 |
---|---|
성경토픽 일반 그릇과 영적 그릇 (0) | 2025.02.24 |
혀에 대한 성경구절 (0) | 2025.02.20 |
[주제성구] 상급에 대한 성경구절 (0) | 2025.02.20 |
성경 속의 정오와 관련된 성경구절 (0) | 2025.0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