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와 관련된 성경구절
성경에서 '보리'는 굉장히 자주 등장하며 중요한 곡물입니다. 하지만 단순한 곡물을 너머 하나님의 공급과 은혜, 심판과 구속, 부활과 생명의 상징으로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히브리어로 ‘보리’는 שְׂעֹרָה(세오라)로 불리며, 이는 ‘털이 난’ 혹은 ‘거친’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이 곡식은 가난한 자들에게 주로 공급되었으며, 7절기 중 첫 이삭의 제사인 초실절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보리는 성경 전반에 걸쳐 하나님의 돌보심과 기적의 수단으로 자주 등장하며, 영적 생명의 은유로도 나타납니다.
하나님의 공급으로서의 보리
보리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주신 땅의 복 중 하나로, 물질적 풍요와 보호를 상징합니다. 특히 가나안 정복 이후 땅의 소산으로서 보리는 신의 축복과 돌보심을 대표합니다.
신명기 8:8
밀과 보리의 소산지요 포도와 무화과와 석류와 감람나무와 꿀의 소산지라
열왕기하 7:16
백성들이 나가서 아람 사람의 진영을 노략한지라 이에 고운 밀가루 한 스아에 한 세겔이 되고 보리 두 스아가 한 세겔이 되니 여호와의 말씀과 같이 되었고
열왕기하 7:18
하나님의 사람이 왕에게 말한 바와 같으니 이르기를 내일 이맘때에 사마리아 성문에서 보리 두 스아를 한 세겔로 매매하고 고운 밀가루 한 스아를 한 세겔로 매매하리라 한즉
대하 2:15
내 주께서 말씀하신 밀과 보리와 기름과 포도주는 주의 종들에게 보내소서
대하 27:5
그 해에 암몬 자손이 은 백 달란트와 밀 만 고르와 보리 만 고르를 바쳤고 제이년과 제삼년에도 암몬 자손이 그와 같이 바쳤더라
기적의 수단으로 쓰인 보리떡
보리떡은 예수님과 엘리사의 기적에서 사용되어 하나님의 초자연적 공급과 풍성함을 나타냅니다. 소박한 재료를 통해 수많은 사람을 먹이시는 하나님의 은혜가 드러납니다.
열왕기하 4:42
한 사람이 바알 살리사에서부터 와서 처음 만든 떡 곧 보리떡 이십 개와 또 자루에 담은 채소를 하나님의 사람에게 드린지라 그가 이르되 무리에게 주어 먹게 하라
열왕기하 4:44
그가 그들 앞에 주었더니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먹고 남았더라
요한복음 6:9
여기 한 아이가 있어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지고 있나이다 그러나 그것이 이 많은 사람에게 얼마나 되겠삽나이까
요한복음 6:13
이에 거두니 보리떡 다섯 개로 먹고 남은 조각이 열두 바구니에 찼더라
절기와 제사에서의 보리
보리는 유월절과 무교절 다음 날 드려지는 초실절의 주요 제물로 쓰입니다. 이는 부활의 첫 열매로 오신 그리스도의 예표이며, 모든 추수의 시작을 알리는 상징입니다.
레위기 23:10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라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주는 땅에 들어가서 너희의 곡물을 거둘 때에 너희의 처음 익은 곡식 한 단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출애굽기 34:22
칠칠절 곧 맥추의 초실절을 지키고 세말에는 수장절을 지키라
민수기 28:26
칠칠절 처음 익은 열매를 드리는 날에 너희가 여호와께 새 소제를 드릴 때에도 성회로 모일 것이요 아무 노동도 하지 말 것이며
보리와 심판 혹은 환난의 상징
보리는 때로 하나님의 심판이나 경제적 위기를 상징하는 소재로 등장합니다. 그 자체가 가난한 자의 음식으로도 여겨졌기 때문에, 풍요의 대조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사사기 7:13
기도온이 이르러 본즉 어떤 사람이 그의 친구에게 꿈을 말하여 이르기를 보라 내가 한 꿈을 꾸었는데 꿈에 보리떡 한 덩이가 미디안 진으로 굴러 들어와 한 장막에 이르러 그것을 쳐서 무너뜨려 위쪽으로 엎으니 그 장막이 쓰러지더라 하매
에스겔 4:9
너는 밀과 보리와 콩과 팥과 조와 귀리를 가져다가 한 그릇에 담고 그것으로 너를 위하여 떡을 만들어 네가 한정된 기간 곧 삼백구십 일을 누워서 그것을 먹되
보리의 상징성과 신학적 함의
보리는 종종 그리스도의 부활의 ‘첫 열매’로 상징되며(고전 15:20), 낮은 자를 살리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드러냅니다. 또한 심령이 가난한 자에게 임하는 하나님의 풍성함을 예표합니다. 보리떡을 통한 기적은 작은 것이 하나님의 손에 들려 사용될 때, 얼마나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부활과 초실절의 연결
보리는 초실절에 첫 열매로 드려지며,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밀접한 상징적 관계를 가집니다. 보리 추수의 시작은 그리스도가 부활의 첫 열매가 되셨음을 예표하며, 장차 믿는 자들의 부활을 약속하는 상징입니다.
고린도전서 15:20
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사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
레위기 23:11
제사장은 안식일 이튿날에 그 단을 여호와 앞에 기쁘게 받으시도록 흔들 것이며
출애굽기 23:16
맥추의 첫 열매를 거두는 초실절을 지키고 연말에는 수확을 거두는 수장절을 지키라
민수기 18:12
그들의 땅에서 기름과 포도주와 곡식의 가장 좋은 것을 너희에게 주었느니라
신명기 16:9
일곱 주를 셀지니 곡식에 낫을 대는 첫날부터 일곱 주를 세어
가난한 자에게 주신 양식
보리는 종종 가난한 자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배려와 공급의 상징으로 등장합니다. 밀보다 저렴하고 서민적인 곡식인 보리는 하나님의 자비와 긍휼이 나타나는 실제적 매개체로 기능합니다.
룻기 2:17
룻이 밭에서 저녁까지 줍고 그 줍은 것을 떠니 보리가 한 에바쯤 되는지라
룻기 2:23
이에 룻이 보리 추수와 밀 추수가 끝날 때까지 나오미와 함께 있으면서 그의 시어머니와 함께 거하니라
룻기 3:15
이르되 네 겉옷을 가져다가 그것을 펴라 하매 그것을 펴니 보리를 여섯 번 되어 룻에게 지워 주고 성읍으로 들어가니라
욥기 31:40
밀 대신 가시나무가 나고 보리 대신 독초가 나기를 원하노라 욥의 말이 끝나니라
에스겔 45:13
백성이 마땅히 드릴 예물은 밀 한 호멜에서 한 에바를 드리고 보리 한 호멜에서도 한 에바를 드리며
농사와 하나님의 주권
보리는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곡식이며, 이는 하나님의 때와 섭리를 따르는 믿음의 표현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때를 따라 이른 비와 늦은 비를 주셔서 보리를 자라게 하시며, 이는 하나님의 주권과 신실하심을 상징합니다.
요엘 2:23
시온의 자녀들아 너희 하나님 여호와로 말미암아 기뻐하고 즐거워할지어다 그가 너희를 위하여 비를 내리시되 이른 비를 적당하게 주시리니 이른 비와 늦은 비가 예전과 같을 것이라
호세아 2:22
땅은 곡식과 새 포도주와 기름을 응답하고 이들은 이스르엘을 응답하리라
이사야 28:24-25
밭 가는 자가 기경하려고 항상 가는 것이겠느냐 땅을 열고 고르게만 하겠느냐 지면을 평평히 한 후에는 소회향을 뿌리며 근채를 뿌리며 밀은 줄줄이 심고 보리는 정한 곳에 심고 귀리는 경계에 심지 아니하겠느냐
시편 104:14
그가 가축을 위하여 풀을 자라게 하시며 사람을 위하여 농작물을 자라게 하사 땅에서 먹을 것을 내시며
예레미야 5:24
그들의 마음으로 우리를 경외하게 하며 때를 따라 비를 내리시며 우리를 위하여 추수할 기한을 정하시는 우리 하나님 여호와를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
보리의 영적 교훈과 성도의 삶
보리는 겸손과 충성, 순종을 상징하는 식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적게 시작하더라도 하나님의 손에 들려질 때 큰 기적의 통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신자의 순종된 헌신을 통해 하나님의 뜻이 어떻게 성취되는지를 가르칩니다.
누가복음 16:10
지극히 작은 것에 충성된 자는 큰 것에도 충성되고 지극히 작은 것에 불의한 자는 큰 것에도 불의하니라
마태복음 13:8
덜어는 좋은 땅에 떨어지매 어떤 것은 백 배, 어떤 것은 육십 배, 어떤 것은 삼십 배의 결실을 하였느니라
요한복음 12:24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한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
갈라디아서 6:9
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포기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
고린도후서 9:10
심는 자에게 씨와 먹을 양식을 주시는 이가 너희 심을 것을 주사 풍성하게 하시고 너희의 열매를 더하게 하시리니
주제별 성경구절 모음
'주제성구-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속 작물 분류 및 성경구절 정리 (0) | 2025.07.13 |
---|---|
과일과 열매와 관련된 성경구절 (0) | 2025.03.11 |
성경 속에서 '꽃'이 갖는 다양한 상징 (0) | 2025.02.26 |
씨앗에 대한 성경구절 (0) | 2025.02.20 |
성경 속의 백합과 관련된 성경구절 (0) | 2025.02.18 |
댓글